테마파크 스토리텔링과 마케팅 사례 (2010년 5월20일 미사모세미나)
- 김혁대표님( 블로그 : http://blog.naver.com/khegel)
현) 63빌딩 밀랍인형 박물관 대표
테마파크 스토리텔러, 테마파크 컨설턴트, 테마파크 칼럼니스트, 방송작가
세계 70여개국 300여개 테마파크 탐방을 통한 테마파크 데이터베이스 구축
테마파크 전문 블로그 테마파크 파라다이스 운영(누적 방문객 1천만명)
저서) 나는 장난감에 탐닉한다
강의를 시작하면서 김혁대표님은 테마파크는 장치산업이며
적게는 7천억에서 1조원이상이 소요되는 투자규모로 일부한정계층에
의해서 추진되는 산업분야라고 설명해주셨습니다.
오늘 강의목적은 지식의 저변을 넓힌다는 의미를 부여해주셨습니다.
부제로 말씀하신것이 스토리텔링과 마케팅으로 떼돈버는 사람들의
이야기라고 말씀하셨습니다. ^^:
1. Closed Festival Market Place -> 테마파크의 본질(디즈니에서 만든말)
- 왜 사람들은 테마파크에서 비싼돈을 아낌없이 지불하는가?
: 온 김에 사용하는 돈, 자발적으로 지출을 유도하는 공간
- 테마파크 : 주제를 주고, 그 주제안에서 사람들이 돈을 지출하게 하는 공간
2. 제주도와 매직킹덤 비교
제주도 | 매직킹덤 | |
년간 방문객 | 600만명 | 1,723만명 |
입장료 | 없음 | 평균 11만원 |
관광상품매출 | 250억원 | 1조 3천억원 |
면적 | 5억5천만평 | 13만평 |
매직킹덤 참고자료
위키디피아 : http://en.wikipedia.org/wiki/Walt_Disney_World_Resort
두산백과사전 : http://j.mp/9vDs7R
3. TOP25 THEME PARKS(2009)
매직킹덤 1위
에버랜드 10위(방문객수는 10위권이나, 객단가로는 40위권)
참고자료는 용량관계로 첨부하지 못했습니다.
구글에서 2009ThemeIndex.pdf로 검색하면 바로 다운이 가능합니다.
다운링크 : http://www.themeparkreview.com/forum/viewtopic.php?f=2&t=55037&start=0
4. 로봇에 관한 여러가지 이야기(국내2곳의 로봇테마파크 추진중)
-현실과 상상의 차이, 지향점 혹은 반면교사
장난감로봇 <------------> 터미네이터
현실속의 로봇 상상속의 로봇
로봇 | 마징가제트 | 아시모 |
제작비 | 상상력,종이,펜 | 3,000억원 |
에너지 | 광자력/무한대 | 배터리/3시간 |
힘 | 65만마력 | 0.025마력 |
속도 | 50~360km/h | 2.5km/h |
무게 | 20톤(280톤) | 52킬로 |
크기 | 18m | 1.2m |
탄생 | 1972년 | 2000년 |
- 전자입국, 일본을 일으킨 로봇컨텐츠
1991년 NHK다큐멘터리 <전자입국, 일본의 자서전>
-1950~60년대 미국 B급 SF영화속의 로봇과 장난감
1950년대 소련이 주도한 우주개발로 인한 상대적 피해의식+매카시즘
B급 SF영화의 전성기
-로봇컨텐츠의 흐름과 발전
초과학형-> 탑승형 거대로봇 -> 과학형(병기/수트형) -> 기타형(인조인간)
논리적 비과학성 -> 설득력있는 상상력 -> 시각적 가치
상상력과 현실이 점점 더 갭이 커짐
-로봇태권브이속에 고여있는 한국 로봇컨텐츠
한국사회, 한국문화의 상대적 폐쇄성
사회적 포용능력과 상상력 부족
로봇컨텐츠 강국 일본의 영향력(마징가의 아류로 시작)
5. 국내 테마파크의 미래 - 10년이내에 변혁이 있을것으로 전망
주제와 테마를 아는, 본질적인 주제를 가진 테마파크만이 살아남을것
테마파크는 도너츠-> 지방세 수입을 늘려줌
지방세 수입순위 과천>송파>용인
6. 테마파크
비일상성
공공성
: 사용자간의 사고발생시 사용자가 사용자에게 책임을 물을수도 있지만
사용자가 테마파크에게 책임을 묻는것
고객관리의 독창성
: 간접적이지만 직접적인 고객관리, 에버랜드 수영장 오픈시 대한항공 승무원 초청사례
Concept City
: 중수도-비용이 아닌 이미지, 향후 실제생활 적용의 노하우 축적
-> 축적된 노하우의 사회이관 및 이윤창출, 도시미래의 컨셉을 선점
Closed Festival Place
: 나무의 한방향 가지치기, 옷의 바리에이션등
디즈니의 테마는 디즈니, 유니버설스튜디오의 테마는 라이딩무비
에버랜드, 롯데월드의 테마를 아십니까?
우리나라에 있는 진정한 테마파크는 한국민속촌 한 곳이라고 생각하심
7. 차별화의 경쟁력-테마파크 사례
<미국 워싱턴>
-스미소니언 박물관
사업적성공과 명소화
지역문화기반 재구성
기존 박물관 운영방식 변화
죽은 부동산 살리기 성공
부동산 개발의 뉴트랜드
-스파이박물관
가족문화공간
대중적 흥미와 품격
지식테마파크
지역트렌드 한계극복
기획과 컨셉설정의 승리
재미요소 삽입
단순한 전시가 아닌 수용하는 방법까지 제시
스토리 참여와 체험부여
-마담투소 밀랍인형박물관
영국마담투소 밀랍인형 박물관의 8번째 프랜차이즈 박물관
면적 750평
전시물품 150점
오픈이후 월방문객 20만명
마담투소 프랜차이즈 최고히트
워싱턴DC 관광트랜드 리드, 관광매출 급증
워싱턴의 특성을 잘 읽은 현지화 성공
-> 백악관 대변인룸 사진촬영등
<일본>
-신요코하마라면 박물관 (http://blog.naver.com/khegel/100043738708)
개념 : 일본유명 라면집 9개를 유치한 테마식당가
위치 : 일본요코하마시 신 요코하마
설립 : 1944년 1200만엔 자본금
집객현황 : 2005년 185만명, 매출 30억엔
건축면적 : 약 320평
성공요인 : 시간을 박제함 - 노스텔지어 마케팅
라면이 가장 먹고싶었던 어린시절 어스름한 추억을 박제
보여주고 싶은것과 보여줘야 하는것의 차이
명확한 테마의 힘
-아사히야마 동물원 (http://blog.naver.com/khegel/100045692874)
폐쇄위기의 경영난을 극복한 일본의 최북단의 시립동물원
수용전시에서 행동전시로, 새로운 관점을 제시
: 펭귄을 아래에서 바라봄으로서 날아다니는 펭귄
바다표범의 호기심을 이용한 전시
창조적 아이디어의 확대-> 실행하는 용기
이것이 테마파크적 마인드
-> 공공성, 탁월한 사업성과 시민자긍심 충족의 3박자 성공
<기타>
-네스호의 괴물 : (http://blog.naver.com/khegel/100049040587)
전형적인 스토리텔링, 가짜인줄 알면서도 방문하여 즐김
-홀리랜드 익스피리언스 : (http://blog.naver.com/khegel/100055818172)
성지체험,성서체험테마파크, 스토리텔링을 실제상황으로 녹여내는 무서운 방식.
어떤 신앙교육보다 뛰어난 도구로 활용
-로스트월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GNP 2%상승
-테마레스토랑 마스2112 : (http://blog.naver.com/khegel/100058462534)
화성으로 가는 가장 빠른길. 상상력을 통해 자연스럽게 유입
-사례를 통해 보여지는 테마파크의 특징들
동화(同化)
명확한 타켓팅과 관점의 변화
테마파크의 기획기반
8. 테마파크 기획의 원칙
-상징성과 명소화 전략 -차별화
-정직한 컨텐츠 -자발적고립유도(Closed Festival Place)
-명확한 테마/ 컨셉설정 -재방문욕구유도(Reordering Mind)
-구상설계 -여론감동시설
-생존능력
9. 테마파크 기획 및 결정의 원칙
-아이디어와 현실성
-발상의 전환
-구상설계
-사업성
10. 테마파크 기획 및 설계플래닝
구상설계 : 기획, 테마, 컨셉설정, 논리부여 : 시놉시스
스토리텔링, 동선, 어트랙션, 프로그램구성 : 시나리오
운영계획, 경영수지분석, 마케팅플랜구성 : 콘티작성
실시설계 : 설계 : 촬영,연출
디자인 : 특수효과
현장작업 : 공사 : 현상, 편집
감리와 시뮬레이션 : 배급,홍보,광고
책이라는 상상력이 가득한 컨텐츠를 만들고 파는 일을 하면서
너무 안일하게 루틴한 방식으로 일한것이 아닌가라는 반성을 했습니다.
억지감동이 아닌 독자와의 공감을 통한, 자연스러운 감동과 자발적인 소비가
가능한 책을, 컨텐츠를 만들어 보고 싶은 욕심도 생겼습니다.
강의를 정리하면서 느낀점은 테마파크의 미래처럼 출판사도 명확한 가치를 전달해주거나,
독자와 자연스러운 공감하는 출판사만 살아남는 시기가 도래한것 같다는 생각이었습니다.
한편으로는 두렵고, 한편으로는 왠지 두근두근합니다.
좁았던 제 시야가 조금은 넓어지는 느낌이 드는 멋진 강의였습니다.
참 좋은 강의를 듣게 해주신 미사모 운영진과 고문님들께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강의를 해주신 김혁대표님께 깊은 존경과 감사를 드립니다.
'3.출판스터디 > 세미나참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OBE Digital Publishing Solution 세미나 참관기 (0) | 2011.04.27 |
---|---|
제15회 상상마당 열린포럼- E-Book : 책의 미래인가, 아니면 해프닝인가? (0) | 2011.03.30 |
[모바일 혁명과 소셜네트워크가 만드는 비지니스 미래지도] - IT문화원 김중태원장님 (0) | 2011.03.28 |
[꿈꾸는 책공장 1인출판 강연] -라이온북스, 책공장더불어 (0) | 2011.03.25 |
[2010년 10월 D-pub세미나] 북큐브 배순희대표님 (0) | 2011.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