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출판스터디/SBI 출판마케팅

[SBI 출판마케팅 9강] - 출판 관리회계의 이해

by 출판마케터 2011. 3. 8.

오늘은 <출판 관리회계의 이해>라는 주제로 당시 웅진씽크빅 임프린트 [웅진윙스] 대표이신

임태주대표님이 강의를 진행해 주셨습니다. 현재 임태주대표님은 행성B 출판사의 대표이십니다. ^_^

 

*처음에는 출판마케팅 강의에 관리회계가 포함된것이 어떤의미인지를 몰랐었는데,

1인출판을 하시는 분들, 혹은 마케팅을 시작하시는 분들은 기본적인 회계숫자에 대한 의미를

아시는것이 매우중요합니다.

여러분이 생각하는것 이상으로 숫자에서 의미를 찾는 것은 쉽지않지만, 정말 맹 친해져야 하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임태주선생님의 강의를 들으시면 정말 쉽게 친해지실수 있습니다.

 

회계하면 막연히 어렵고 이상한 숫자들의 나열이라고 생각하시겠지만 영업담당자 혹은

마케팅 담당자에게는 기본적인 개념숙지가 필요한 항목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특히 꿈꾸는 책공장의 식구들처럼 창업을 생각하시는 분들에게는 거의 필수이구요.

 

재무제표는 하나의 언어이며 기본개념만 이해한다면 전문적인 작성까지는 아니더라도

독해는 가능하게 되며 제대로 보는 눈만 가질정도면 된다고 하셨습니다.

회계에는 재무회계, 세무회계, 관리회계가 있는데 재무회계는 회사의 지표를 파악하고

기본개념을 익히는 과정이며 관리회계가 바로 회사운영을 위해 사용되는 회계로서

신속한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해주는 회계입니다.

따라서 본 과정에서는 재무회계를 기본을 익히고 관리회계까지  아우르게 된다고 하셨습니다.

 

 

1.회계를 공부하는 의미

 1.1. 모든 회계 숫자는 의도를 숨기고 있다.

    예)항공회사의 감가상각, 삼성전자의 R&D비용

   : 요즘 분식회계라는 말이 많이 쓰이는 데 분식이라는 것은 화장을 의미하는 것으로

     회계에서는 부풀리거나 줄이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일본식 한자라고 하시더군요.

     항공회사의 경우는 항공기의 감가상각을 줄여서 이익을 높이거나

     삼성전자의 경우는 R&D비용을 자산이 아닌 비용으로 처리하여 이익을 줄입니다. 

 

*모든 숫자는 의도를 숨기고 있다는말은 정말 마케팅일을 하면할수록 피부에 와닿는 말인것 같습니다.

숫자가 가진 숨겨진의도를 누가 정확하게 파악하는지, 개인적인 시각의 틀에 갇히지않고, 명확한

해석을 할 수 있는지가, 앞으로 출판마케팅의 향방을 가늠할 수 있을거라 감히 생각해봅니다.

  

 1.2. 회계는 시장경제를 지탱하는 근간이다.

     가계부가 아닌 대차대조표를 작성하라. 가계부는 수입과 지출을 파악할 수는 있지만

     자산의 변동을 파악할 수 없습니다. 한달에 한번정도 대차대조표를 작성해보시면

     자기자산의 변동을 파악하여 부자가 되실지도 모릅니다.

 

2.경영활동의 구성요소

       경영전략

       생산관리, 마케팅관리, 인사관리, 재무관리

       정보관리(회계)

       조직관리

 

3.회계의 의미(Accounting)

 : 기업의 정보(이익/자산)을 작성해서 이해관계자에게 전달해주는 것

 

 

    기업  --------------------------------------------->  이해관계자

                                           회계사(감사)                       - 주주(성과/이익/배당)

                                          - 정보의 전달                       - 채권자(원리금/이익/담보재산)

* 감사대상기업                                                               - 종업원(인센티브)

 - 법인회사중 주식을 발행하는 회사                                   - 정부(세금)

 - 자체자산이 70억이상인 회사

 

+ 감사보고서의 의견

 1. 적정의견 : 여러모로 좋음

 2. 한정의견 : 일정부분 의심이 되며 그부분을 제외하고는 좋음

 3. 부적정의견 : 대부분이 의심이 됨

 4. 의견거절 : 감사대상이 될 수 없을 정도로 엉망

 

*경제신문을 보시다보면 감사보고서에 관한 기업관련기사가 심심치않게 눈에 띕니다.

회계관련 내용을 공부하는데에 경제신문만큼 유용한것도 없는것 같습니다. 

 

+ 회계사와 발주사의 지불관계를 고려하면 보고서의 의견을 한단계 아래의견으로 봐야합니다.

  한정은 부적정일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것이며 부적정의견이 나온 회사의 주식을 가지고

  계시다면 인지하는 즉시 바로 파셔야합니다.

 

4.재무제표(F/S:financial statement)

   - 이익 : 손익계산서

   - 재산 : 대차대조표, 현금흐름표,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

 

5.대차대조표(Balance Sheet)의 구성 : 일정시점의 재무제표를 나타내는 표

 

 
 이 그림을 통해 우리는 두가지를 알 수 있습니다.
1.재산의 소유자는 누구인가
2.자본은 어디서 조달해 왔는가
 
자기자본을 늘이는것이 중요한 핵심입니다.
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이 자산으로 주택이 2억, 자동차가 2천, 적금 1천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할때
그 구성은 부채 1억 (은행빚 5천, 사채5천), 자기자본 1억 3천이 됩니다.
자산은 부채와 자본의 합이며  항상 성립합니다. 따라서 자기자본은 기회비용으로 인식되므로
자기자본비율을 높이는것이 부자가 될 수있는 방법입니다.
 
대차대조표는 보통 1년기준으로 작성됩니다.
대차대조표의 Balance는 균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잔고를 의미합니다.
 
[대차대조표 작성연습1]
 
 
 
 
6.손익계산서(Income Statemnet)의 구성
    : 일정기간의 영업성과를 나타내는 표 [수익(매출)-비용 = 이익]
 
----------------------------------------------------------------------------------------- 
 1.매출액 sales
----------------------------------------------------------------------------------------- 
 2.매출원가 cost of goods sold : 제조원가
----------------------------------------------------------------------------------------- 
 3.매출총이익 gross margin
----------------------------------------------------------------------------------------- 
 4.판매비와 관리비 : 판관비라고도 함. 마케팅 비용과 모든 유지관리 비용(인건비 및 임대료등)
----------------------------------------------------------------------------------------- 
 5.영업이익(사업이익) operating profit = EBIT(earning before interest and tax)
----------------------------------------------------------------------------------------- 
 6.영업외 수익
 7.영업외 비용 : 주된 영업활동 외에 보조적, 부수적 영업활동으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수익과 비용
              (수입이자,유가증권이자,수입배당금,사채이자,지급이자,연구개발비상각,재고자산평가손실)
----------------------------------------------------------------------------------------- 
 8.경상이익 earning before tax = EBT  : 금융비용을 제한, 경상적인 활동으로 발생한 이익(상시적인)
----------------------------------------------------------------------------------------- 
 9.특별이익
 10.특별손실 : 비경상적으로 발생하는 이익과 손실(재해손실,상각채권추심이익,고정자산처분이익과 손실)
----------------------------------------------------------------------------------------- 
 11.법인세차감전 순이익
----------------------------------------------------------------------------------------- 
 12.법인세
----------------------------------------------------------------------------------------- 
 13.당기순이익 net income
-----------------------------------------------------------------------------------------
 
[손익계산서 작성연습]
 
매출액 90만원
제작비 4만원
편집인건비 6만원
광고선전비 30만원
영업인력급여 7만원
사장급여 3만원
감가상각비 7만원
임차료 10만원
이자수익 6만원
이자비용 20만원
유형자산 처분이익 4만원
법인세 2만원  
(답은 이어지는 강의록에 첨부하겠습니다)
 
 
요즘은 사업환경이 급변하다보니, 년간으로 나오는 재무제표(다음년도 3월쯤 통상적으로 나옴)로는
부족하여 많은 기업들이 반기보고서나 분기보서를 작성하여 발표하곤 합니다.
간단한 용어만 신경쓰시더라도 재무제표를 보는것은 어렵지 않다는 것을 이번 강의시간에 배웠습니다.
 
재무제표를 보는법이 중요한 이유는 영업자에게는 리스크를 감지하여 거래처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마케터에게는 효과적인 사업계획과 마케팅계획을 작성하는 기본자료이기 때문입니다.
 
웅진씽크빅의 재무제표를 가지고 용어설명을 해주셨는데 웅진씽크빅의 재무제표는 금융결제원사이트에
가시면 보실수 있습니다. 거의 모든 회사의 재무제표는 금융결제원에 가시면 보실수 있습니다.
물론 감사를 받지않는 회사의 재무제표도 있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재무제표용어중 대손충당금은 해당 항목에 Risk가 발생할 것을 고려하여 감가상각하는 금액을 의미하며
대손충당금이 많은 회사일수록 투명한 경영, 안정적인 경영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대손충당금은 대부분 경험을 통해 산정되며 여행사같이 환경리스크가 큰업체일수록 대손충당금이 커지게 됩니다.
 
상품은 완제품을 사와서 판매하는것으로 판매수수료가 이익이 되며, 제품은 우리회사에서 만들어 파는
것을 의미합니다. 제품평가충당금은 불량제품이나 악성재고를 위해 조성되며 재공품은 현재 완제품은
아니며 공장에서 가공중인 제품을 말합니다.( 출판에서는 인쇄소나 제본소에 있는 책을 의미) 
 
예수금은 거래에 관련된 선금이나 보증금으로 임시받아서 나중에 돌려줘야 하는 돈을 말합니다.
반품추정부채는 반품을 위해 만드는 일종의 충당금이며 웅진씽크빅의 경우는 약 10%정도를 계산합니다.
 
따라서 회사가 영업활동을 통해 올바로 영업이익을 창출했는지, 건전한 기업활동을 하는 기업인것을
확인할때는 당기순이익을 보면 됩니다. 당기순이익은 영업활동외의 이익과 세금을 제한,  순수한 영업활동의
이익이 반영된 금액이기 때문입니다.
 
오늘 강의내용을 기초로 좀더 내용을 찾아보시고 공부하신다면, 출판마케팅을 위한 기본정보는
공개된 회계자료를 통해서 충분히 얻으실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그럼 행복한 주말되세요. ^^
반응형